사진 : http://www.physorg.com/news169466260.html 

 

 

  • 원리
    • 액체 OLED: '고체상태 유기박막' 대신 '액체 유기물층(Liquid Emitting layer)'으로 QLED를 만듬.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에 응용될 수 있음.
  • 구조
    • 액체 유기물층은 루브린(rubrene)으로 도핑된 EHCz로 제작된 액상의 반도체층임.
    • EHCz: 에틸헥실 카바졸(ethylhexyl carbazole), 우수한 전기 전도성과 높은 정공 이동도를 가짐. 액체상태
    • 루브린(rubrene): 고체상태, 높은 광발광성(photoluminescence)효율을 가짐. 
    • 액상 유기물층을 양극과 음극 사이에 넣고, 이를 유리판 사이에 넣어서 액체 QLED를 구성함.
  • 효과
    • EHCz가 정공을 수송하고, 루브린은 전자 수송과 발광 기능을 하여 전계 발광을 유도함.

 

 

출처: 

http://news.samsungdisplay.com/8697

'Tech(기술) > 디스플레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디스플레이| 퀀텀닷의 원리 및 응용  (0) 2020.04.28
디스플레이 | FHD  (0) 2020.04.17

+ Recent posts